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난 달 명일동에서 일어난 싱크홀 사고를 보고 진짜 무섭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금까지 싱크홀은 영화에서 본 게 전부일거라고 생각했고, 다이빙 하는 친구들이 블루홀 이야기를 해서 그런 것들도 있구나, 했는데 이번 뉴스는 정말 제게 크게 다가왔습니다. 

 

아마 여태까지 사망사고는 별로 접하지 못했는데 오토바이가 순식간에 사라지는 모습을 보고, 또 그 분이 사망하셨다는 이야길 듣고는 싱크홀의 위험성과 공포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싱크홀
깊이가 어느 정도인지를 몰라 더욱 위험한 싱크홀

우리나라에서 정의하는 싱크홀이란?

 땅이 내려앉아 지면에 커다란 구멍이나 웅덩이가 생기게 되는 것을 싱크홀이라고 명명하는데, 사실 이 싱크홀은 크기가 작게는 1m부터 크게는 몇백 m까지 어마어마한 구덩이라고 보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땅꺼짐'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싱크홀이 노후된 수도관의 문제와 지하철 공사 때문이 제일 크다고 보고있습니다. 지하수를 많이 퍼내면 그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그 위에 무거운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지반이 침하되고 그게 싱크홀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최근에 생긴 싱크홀들을 보면 지하철 공사 및 서울 잠실 부근의 싱크홀 위험 지역이 대거 확인되고 있습니다. 

거대한 싱크홀 사고 현장
진짜 무서운 싱크홀 사고

우리나라에서 싱크홀 위험지역

2014년도부터 정말 크나큰 싱크홀 사고들이 발생했습니다. 대거 발생 지역은 아무래도 서울 지역일 수 밖에 없는데, 특히 문제가 크게 대두되었던 석촌호수 부근은 원래 이 지역이 한강 본류 였고, 현재의 한강은 지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석촌호수는 이런 한강을 막아서 만들어지게 된 것이므로, 사실상 이 쪽 부근의 땅들은 모래 같은 지반이라 위험하다고 계속 경고해왔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SBS에 따르면 지하철 노선도를 따라 전체 싱크홀의 60% 가량이 분포해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가장 심각한 지점은 3호선 불광역에서 독립문역 사이의 구간으로 500m당 하나의 싱크홀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5호선, 2호선, 4호선, 8호선 등 근래에 만든 지하철이 아니더라도 전반적으로 문제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https://youtu.be/OuVQgS1wWZQ?si=3fY364yfQqYRRoNE

 

 

 

https://image.imnews.imbc.com/pdf/society/2025/04/20250417.pdf

 

서울 도심 도로 아래 숨겨진 위협, ‘지반침하’ 실태 보고서 공개

2025년 4월 16일, MBC는 서울시의 ‘2024년 지반침하 특별점검 공동조사용역’ 최종 보고서를 단독 입수하여 공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도심 1,930km 구간을 정밀 조사한 결과, 지반 침하 위험 지역에서 총 329곳의 ‘공동(빈 공간)’이 발견됐습니다.


주요 발견 지역별 공동 분포 현황

 

구별발견된 공동 수

강남구 65곳
광진구 28곳
서초구 25곳
중구 21곳
송파구·서대문구 각 20곳
종로구 19곳
용산구 18곳
강서구 15곳
노원구 13곳
관악구·강동구 각 12곳
동작구 11곳
성동구 10곳
성북구 8곳
강북구·도봉구·영등포구 각 7곳
마포구 6곳
은평구 4곳
중랑구 1곳

 

 

 

자세한 내용을 알고싶으시면 다음과 같은 싱크홀 확인하는 사이트 알려드릴게요!

 

 

👉싱크홀 지하 안전 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https://www.jis.go.kr/mainForm.do

 

지하안전정보시스템

총 접속수 543,809건 사용자현황수 13,148건

www.jis.go.kr

👉  생활안전지도 바로가기 https://www.safemap.go.kr/main/smap.do

 

생활안전정보

일상생활에서 예방이 필요한 다양한 위험정보와 유용한 안전정보를 만나보세요!

www.safemap.go.kr

 

 

👉  국토교통부 '국토지반정보 포털 시스템' 바로가기  https://www.geoinfo.or.kr/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

방문자수 4,555,581명 등록자수 38,673명

www.geoinfo.or.kr

 

👉 국토안전관리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kalis.or.kr/index.do

 

국토안전관리원 홈페이지

--> 원의 개선사항 및 비전등을 원장님에게 제안합니다.

www.kalis.or.kr

 

 

우리집 주변은 안전한지 한 번 살펴보시기를 바랍니다. 

서울시는 집값문제로 많은 정보를 내보이길 포기한다는데, 

안전보다 생명보다 집이 먼저일수는 없는데 정말 안타깝습니다...

반응형
반응형